|
제 철에 나는 것을 먹는 것이 영양가가 제일 높다. 학명으로는 고려엉컹퀴, 곤달비 라고 하며 태백산의 해발 700m 고지에서 자생하는 구황식품이다. 곤드레는 생으로 쌈을 싸서 먹거나 튀김, 무침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조리할 수 있다. 또 캐서 말린 후 저장하거나 냉동고에 저장하면 1년 내내 사용할 수 있다. 곤드레는 맛이 부드럽고 담백하며 향기가 강하고 씹기가 좋다. 곤드레 에는 탄수화물, 칼슘, 비타민 A 등의 영양이 풍부하다. 또한 곰취와 같은 효과의 약으로 쓰이는데, 지혈, 소염, 이뇨작용, 지열, 해열, 소종 외에도 민간에서는 부인병에 치료약으로 이용한다. | |
|
| |
|
|
|
곤드레 : |
끊는 물에 소금을 조금 넣고 살짝 데친 후 찬물에 헹궈서 꾹 짜놓는다. |
쌀 : |
씻어 20분쯤 불린다. |
마늘 : |
석쇠, 팬, 오븐 등에 겉이 조금 탄 빛이 나도록 구워 맛을 낸다. 은행 팬에 기름을 두르고 볶은 후 종이로 비벼서 껍질을 제거한다. | | | |
|
|
1. 나물 : |
데친 곤드레를 양념장에 무친다. |
2. 밥짓기 : |
1) 돌솥에 쌀을 안치고 물을 평소보다 적게 붓고 끊어 오르면 불을 줄인다. 2) 나물과 구운 마늘, 볶은 은행을 얹고 뜸을 들여 고슬고슬한 밥을 짓는다. |
3. 양념장 : |
준비한 재료를 모두 섞어 짜지 않게 양념장을 만든다. | | | |
|
|
나물양념장 : |
나물양념장 : 간장 1큰술, 다진파 2큰술, 다진마늘 1/2큰술, 들기름 1큰술, 깨소금, 소금 |
비빔양념장 : |
간장 4큰술, 다진파 1큰술, 다진마늘 1/2큰술, 참기름 1큰술, 깨소금 1/2큰술, 물 2큰술, 고춧가루 1큰술 | | | |
|
|
장식및담기 : |
개인용 돌솥에 곤드레밥을 뜨겁게 내면, 공기에 밥은 덜고 뜨거운 물을 부어 누룽지를 만들어 먹는다. |
상차림과곁들임 : |
미역국, 물김치, 양념장, 생선전을 놓아 개인용 한상 차림으로 한다. | | | |